예술인의 삶 смотреть последние обновления за сегодня на .
대한민국 최고의 강연 ‘최강1교시’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인물, 자신만의 강연 테마로 대중들로부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사람을 강연자로 초대해 해당 분야의 주제에 대해 흥미로운 지식과 공감의 향연을 펼쳐본다. 또한 그들이 전하는 열정적이고 진솔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인생의 지혜를 얻고 모두가 배움을 통해 성장하는 ‘성장수업’의 장(場)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영상의 저작권은 KNN에 있습니다. 방청신청 🤍 #예술 #미술 #작품
EBS [예술의 쓸모]에 출연한 박서보 화백, 정수만 모아 보여드립니다.
이 영상은 2013.05.20.에 서울 남산국악당에서 진행된 《2013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개막식 특별 강연; 김영하 소설가 '모두가 예술가가 되는 삶'》의 강연 영상입니다. 개막식은 사전/개막 퍼포먼스, 개막 영상, 축사, 강연, 축하 공연, 주간 행사 개막 선언, 환송 및 기념 촬영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보통사람들의 예술'이라는 메인 주제를 기반으로 소설가 김영하가 진행한 개막식 특별 강연의 촬영 영상입니다.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의거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입니다. - 전국민이 일상적 삶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지원함으로써, 국민의 문화복지를 실현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 주요사업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문화예술교육 학술 연구 및 조사,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소설가김영하 #김영하 #김영하작가
#우병윤 #우병윤작가 #인터뷰 #예술가 #예술가인터뷰 제도권 교육을 따르지 않고 미술사를 공부하고 예술가의 길을 걷기 시작한 우병윤 작가를 만났습니다. 예술가들의 작품을 온전하게 바라보기 위해 그들의 삶을 먼저 찾아 공부하고 배웠다는 작가는 중첩重疊Superposition 이라는 주제로 작업을 해오고 있습니다. 빛이 좋은 날 우병윤 작가의 결과 닮아 있는 그의 작업실을 찾았습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예술가들의 작품은 그 사람의 결과 닮게 됩니다. 한 사람의 살아온 태도가 그 사람의 얼굴에 인상으로 드러나듯이 예술가들의 삶과 생각은 고스란히 작품으로 전해지는데요. 우병윤 작가와 작품을 통해 그가 지녀온 삶의 태도를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woobyoungyun_ 🤍woobyoungyun.painting ©에포크한남 (époque hannam) 🤍epoquehannam.com 00:00:00 시작 00:00:37 예술가의 삶을 살게 된 계기 00:01:47 2년간 철학, 예술사, 드로잉을 독학 00:02:23 미술사에서 어떤 사조에 가장 관심이 있었나요 00:02:59 일과 삶을 이끄는 영감의 원천 00:03:43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선호하는 방법 00:04:15 삶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00:04:42 정해진 하루의 루틴이 있다면 00:05:16 여름과 겨울의 작업 느낌이 달라지는지 00:05:44 평소의 글을 모아서 책으로 작업하시는 것은 어떨까요 00:06:10 작업에 가장 중점을 두는 요소 00:06:46 삶에서도 밸런스는 중요하죠
K-ART의 글로벌진출을 선도하며 KARTZ작가들을 후원하는 아트토큰의 플랫폼이 2022년 4월 오픈합니다. [카르츠 홈페이지] 🤍 [카르츠 인스타그램] 🤍 [아트토큰 유튜브] 🤍 K-ART의 글로벌 진출을 선도하는 아트토큰이 후원합니다.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인물, 자신만의 강연 테마로 대중들로부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사람을 강연자로 초대해 해당 분야의 주제에 대해 흥미로운 지식과 공감의 향연을 펼쳐본다. 또한 그들이 전하는 열정적이고 진솔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인생의 지혜를 얻고 모두가 배움을 통해 성장하는 ‘성장수업’의 장(場)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영상의 저작권은 KNN에 있습니다. 방청신청 🤍 #예술가 #음악가 #travel #여행
Being freelancers, they knew that their working environment was going to be unpredictable, but what they did not expect was the complete vacuum in projects brought on by a pandemic. We spoke with freelance artists in Korea to see how the pandemic has hit the world of performing arts in Korea and whether there may be ways for the artists to trump it all with what they are known for - brain, gumption and creativity. #PostCovid19 #Newnormal #artist Click to find out more: 🤍
*이 영상은 중앙북스 출판사로부터 금전적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편안하게 라디오 듣는 기분으로 영상 감상하실 수 있게 길게 만들었습니다. 항상 감사하고 사랑해요. :)
공식 홈페이지 : 🤍 삶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1부- 예술가의 눈으로 세상을 만난다, 예술가의 눈으로 세상을 만나다 예술교육의 목적은 예술 경험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인격적인 성장을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 모두가 행복한 교육을 꿈꾸는대한민국 대표 교육전문가들의 유쾌한 토크가 시작된다! 미래교육 플러스. 성적보다 역량에 집중해야 아이의 미래가 보인다, MC 신종호. 역사란 사람을 만나는 것-MC 최태성,
매주 일요일 8시, 시공간을 초월한 유럽 예술기행 #여행강의 #방구석랜선여행 #인문학강의
#운동하는여자 # #인간극장 #서커스 #예술인 #예술인의삶 영상에 나오는 학원은 홍대 신촌쪽 시온서커스학교 입니다 예술인의 삶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Kakao : honghot Instagram : h2hong2 mc_hong2🤍naver.com 체조 학원카페 : 🤍 구독하기 알람버튼 ! (영상이 업로드되면 신호가 옵니닷!) 좋아요 눌러주세요 (제게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메일 : mc_hong2🤍naver.com
공식 홈페이지 : 🤍 할까요?' 1부- 당신의 삶을 바꾸는 예술, 일상속에서 예술을 자연스럽게 만나고 즐기는 행복한 경험은 삶을 바꾸는 힘이 된다. 어려운 환경과 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의 오케스트라와 영국의 페인트 잼, 이퀄 아트 등의 사례를 통해 삶을 바꾸는 예술의 힘을 본다, ▶For more VOD visit us at 🤍 인문, 문화, 과학, 자연, 건강, 육아 등에 관한 EBS 교육기획 다큐멘터리입니다. 생활과 밀접한 실용적인 다큐, 새로운 시각을 가진 신선한 다큐, 이야기가 있는 재미있는 다큐를 표방하며 08년부터 지금까지 아이의 사생활, 한반도의 공룡 등 매주 다양한 다큐멘터리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Subscribe to the EBS Docu Channel here: 🤍 ▶For more inforamation visit us at 🤍 ▶Check out what we're up to elsewhere: -🤍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인물, 자신만의 강연 테마로 대중들로부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사람을 강연자로 초대해 해당 분야의 주제에 대해 흥미로운 지식과 공감의 향연을 펼쳐본다. 또한 그들이 전하는 열정적이고 진솔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인생의 지혜를 얻고 모두가 배움을 통해 성장하는 ‘성장수업’의 장(場)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영상의 저작권은 KNN에 있습니다. 방청신청 🤍 #예술가 #음악가 #travel #여행 #고갱 #고흐
오랜만에 방송에 나온 보자기 장인 이효재 병원이랑 친하지 않은 그녀의 놀라운 건강상태!💕 건강 비결은 더 돌고 돌아 다니기?😚 ✔ 66세 보자기 장인 이효재가 머무는 곳 , 초정행궁 ✔ 건강 검진조차 잘 안 받는 그녀의 현재 건강상태는? ✔ 자연과 어우러지는 맛있는 별미💕 MBN 230523 방송 여러분의 평생건강을 책임질 '바른건강' : 🤍 #이효재 #보자기 #혈당 #당뇨 #메밀국수 #엄지의제왕 #MBN
[Lecture1]삶의 예술, 예술의 삶:문광훈의 예술론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21세기북스 출판사와의 협업으로 서울대학교 박찬국 교수님의 신간 '내 삶에 예술을 들일 때, 니체'를 리뷰하는 영상을 만들어봤습니다. 흔히 니체는 도덕 혹은 종교 비판과 관련해 가장 많이 이야기되고, 예술에 대한 이야기는 상대적으로 소수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실 니체 사상의 가장 중심에는 예술적 감성이 놓여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영상, 그리고 나아가 이 책을 통해 이러한 주장이 잘 전달되기를 바래봅니다. 쇼펜하우어와의 비교도 많이 언급되기 때문에 유용한 지식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인생이 마음대로 되지 않을 때, 니체가 나에게 예술을 권했다.❞ 『내 삶에 예술을 들일 때, 니체』 ─ 🤍 #내삶에예술을들일때니체 #박찬국 #서가명강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인물, 자신만의 강연 테마로 대중들로부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사람을 강연자로 초대해 해당 분야의 주제에 대해 흥미로운 지식과 공감의 향연을 펼쳐본다. 또한 그들이 전하는 열정적이고 진솔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인생의 지혜를 얻고 모두가 배움을 통해 성장하는 ‘성장수업’의 장(場)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영상의 저작권은 KNN에 있습니다. 방청신청 🤍 #예술가 #음악가 #travel #여행
공식 홈페이지 : 🤍 할까요?' 1부- 당신의 삶을 바꾸는 예술, 일상속에서 예술을 자연스럽게 만나고 즐기는 행복한 경험은 삶을 바꾸는 힘이 된다. 어려운 환경과 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의 오케스트라와 영국의 페인트 잼, 이퀄 아트 등의 사례를 통해 삶을 바꾸는 예술의 힘을 본다, ▶For more VOD visit us at 🤍 인문, 문화, 과학, 자연, 건강, 육아 등에 관한 EBS 교육기획 다큐멘터리입니다. 생활과 밀접한 실용적인 다큐, 새로운 시각을 가진 신선한 다큐, 이야기가 있는 재미있는 다큐를 표방하며 08년부터 지금까지 아이의 사생활, 한반도의 공룡 등 매주 다양한 다큐멘터리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Subscribe to the EBS Docu Channel here: 🤍 ▶For more inforamation visit us at 🤍 ▶Check out what we're up to elsewhere: -🤍
서용선 작가 Suh Yongsun b.195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및 동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2016~ 현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 1986~2008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2016 아르코미술관 대표작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4 이중섭미술상, 조선일보사 2009 올해의작가, 국립현대미술관 1984 제6회 중앙미술대전 중앙미술상, 중앙일보사 1983, 1982 문제작가 작품전(평론가 12인 추대 선정) 서울미술관 , 서울 1982 동아미술상, 동아일보 1978 제1회 중앙미술대전 특선, 중앙일보사/동양방송 주요 개인전 2022 서용선_회상, 소나무 : 갤러리JJ, 서울 2021 서용선의 마고이야기, 우리 안의 여신을 찾아서 : 서울여성역사문화공간 여담재, 서울 서용선의 자화상 : 갤러리하이, 부산 Mago, The Myth_Suh Yongsun : JNO갤러리, 서울 서용선의 생각, 가루개 프로젝트 : 갤러리JJ, 서울 만첩산중萬疊山中 서용선회화 : 여주미술관, 여주 2020 직관적 사유로서의 선_ 서용선 종이그림 : 올미 아트스페이스, 서울 고구려, 산수 : 갤러리이마주, 서울 2019 서용선의 머리_갈등 : 갤러리JJ, 서울 통증·징후·증세_서용선의 역사 그리기 : 아트센터화이트블럭, 파주 ソ·ヨンソン, 速度の都市(서용선, 속도의 도시) : Niche Gallery, 도쿄 서용선, 산을 넘은 시간들 : 누크갤러리, 서울 Suh Yongsun_Utopia’s delay The Painter and The Metropolis : Mizuma, Kips & Wada Art, 뉴욕 2018 서용선의 자화상, Reflection : 갤러리 JJ, 서울 도시를 향한 현상학적 시선 : 신라갤러리, 대구 Suh Yongsun_ City and History of Landscape : MK Gallery, Vienna, 버지니아 2017 My Place : Gallery Fukuzumi, 오사카 Suh Yongsun-37 rue de Montreuil Paris / 222 main Street NewJersey : La Galerie La Ville A des Arts, 파리 Suh Yongsun_Crossing Worlds : Art Mora, 뉴욕 생각이 그려지는 :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6 서용선 : 류미재갤러리, 양평 색色과 공空_ 서용선 : 김종영미술관, 서울 서용선의 인왕산 : 누크갤러리, 서울 2016 아르코미술관 대표작가_확장하는 선_서용선 드로잉 : 아르코미술관, 서울 서용선의 마산 : 마산청과시장 아트스튜디오, 마산 2015 서용선_자화상 : 갤러리이마주, 서울 서용선의 도시그리기_유토피즘과 그 현실사이 : 금호미술관 / 학고재갤러리, 서울 2014 상처난 색채 : 아트센터 쿠, 대전 서용선 : 이유진갤러리, 서울 제26회 이중섭미술상_신화, 또 하나의 장소 :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徐庸宣ソ·ヨンソン, Embodied and Embedded Things_Self Portraits and Scene : Gallery Fukuzumi, 오사카 역사적 상상-서용선의 단종실록 :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파주 Suh Yongsun : DAAD(독일학술교류처), 본 2013 Suh Yongsun : Kips Gallery, 뉴욕 Suh Yongsun : 베를린한국문화원, 베를린 기억·재현_서용선과 6.25 : 고려대학교박물관, 서울 움직이는, 움직이지 않는 : 갤러리이마주, 서울 2012 서용선의 풍경, 오대산: 동산방화랑 / 리씨갤러리, 서울 Territory : Kips Gallery, 뉴욕 2011 서용선의 지리산: 리씨갤러리, 서울 Suh Yongsun : RMIT(로열멜버른공과대학)School of Art Gallery, 멜버른 The man who paints : Shinwha Gallery, 홍콩 Künstler Suh Yongsun : Galerie Son, 베를린 Touch : Gallery Fukuzumi, 오사카 시선의 정치: 학고재갤러리, 서울 2010 풍경 : 리씨갤러리, 서울 Men in the History : 604J 갤러리 / 604H 갤러리, 부산 Men in the History : 스페이스홍지, 서울 서용선 : 갤러리이마주, 서울 6 Downtown: Kips Gallery, 뉴욕 2009 서용선 : 통인옥션 갤러리, 서울 미래의 기억 : 박수근미술관, 양구 산·수山·水 : 리씨갤러리, 서울 2009 올해의 작가_서용선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徐庸宣, 顔たち(얼굴들) : Gallery Fukuzumi, 오사카 2008 자화상 : 갤러리고도, 서울 Suh Yongsun, Recent Paintings : 갤러리 A-story, 부산/서울 2007 매월당 김시습金時習 : 갤러리 고도, 서울 노산군 일지Ⅲ : 오스갤러리, 전주 徐庸宣 노산군일지 III (서용선 노산군일지 III) : Gallery Fukuzumi, 오사카 2006 이념과 현장들 : 갤러리고도, 서울 서용선 : 철암역갤러리, 태백 Suh Yongsun New Works : Crecloo Art Gallery, 뉴욕 2004 태백, 철암 : 수가화랑, 부산 서용선 : 노화랑, 서울 미래의 기억 : 일민미술관, 서울 2002 서용선-만들기와 그리기 : 노화랑, 서울 1999 서용선 1993-1999 노산군(단종)일지 : 영월문화원, 영월 1998 서용선 : 노화랑, 서울 1997 서용선 : 이콘갤러리, 서울 1996 자화상 소묘 드로잉: 이콘갤러리, 서울 서용선: 조현갤러리, 서울 1995 Suh Yongsun, Self Portrait : Gallery Swan, 뉴욕 서용선 : 갤러리서미, 서울 1994 서용선: 갤러리인사동이콘, 서울 1993 서용선 1987-1993, 노산군(단종)일기 : 신세계갤러리, 서울 1992 서용선 : 갤러리이콘, 서울 1991 서용선 : 신세계미술관, 서울 서용선 : 갤러리서미, 서울 1990 서용선 : 공간미술관, 서울 1989 서용선 :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1988 서용선 : 갤러리P&P, 서울 레지던시 프로그램 및 기타 경력 2018 Artist Talk : York University, York Centre for Asian Research 초청, Toronto, 캐나다 KAAF(Korea-Australia Arts Foundation 한-호문화재단) Art Prize 심사위원장 초청, Sydney, 오스트레일리아 2018 Torpedo Factory ArtCenter 레지던시 프로그램, Virginia, 미국 2016 Art Mora 레지던시 프로그램, New Jersey, 미국 마산청과시장 아트스튜디오 레지던시 프로그램, 창원 2015 이마도 레지던시 프로그램, 행촌문화재단 및 행촌미술관, 임하도, 해남 2012 Sydney University 레지던시 프로그램, Sydney, 오스트레일리아 2010RMIT University 레지던시 프로그램, Melbourne, 오스트레일리아 2009 베를린 장벽붕괴 20주년기념 프로그램, Brandenburg Gate, etc, Berlin, 독일 2006 Monash University 방문교수/작가 프로그램, Melbourne, 오스트레일리아 2004 Cite International Program -가나갤러리, Paris, 프랑스 Asem재단 후원 파리 1대학방문교수-서울 대학교환프로그램, Paris, 프랑스 2002 Hamburg International Art Workshop 초청작가(교수),Hamburg, 독일 1995 Virmont 레지던시 프로그램참가, Vermont, 미국 윤기원 작가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스튜디오 유닛, 노림스튜디오 작가 프로듀서 아트팩토리 후 대표 개인전 ‘Friends’, ‘swimming’, ‘아버지’, ‘People’ 등 그룹전 ‘사람과 사랑’, ‘The Face’, ‘K아트스타’, ‘얼굴’ 등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로얄컴퍼니사옥’ 등 당신을 위한 현대 미술 이야기 한국 미술 작가들의 진한 삶 진정한 아트 컬렉팅을 위한 길잡이 공셸TV [ 윤기원의 아티스톡 ] EP. 137 서용선 작가 2부 Korean Artist Suh Yongsun 문의 : info🤍gongshall.com #그림 #미술 #화가 #예술 #작가 #전시 #art #painting #artist #exhibition #collection #서용선 #서용선작가
#예술인의삶 #에어리얼실크 #플라잉요가 #서커스 출연문의 연락주세요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궁금하신건_ kakao : honghot Instagram : h2hong2 mc_hong2🤍naver.com 영상 좋아요 구독은 제게 힘이 됩니다!:) 체조 학원카페 : 🤍 구독하기 알람버튼 ! (영상이 업로드되면 신호가 옵니닷!) 좋아요 눌러주세요 (제게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2021.03.10 #탐나는제주 [예술가의 삶 속으로! - zoom in 이아] 제주 문화예술재단에서 운영하는 예술공간 '이아'의 기획전 예술 작품으로 함께 소통하고 일상을 공유하는 특별한 만남
세상을 바꾼 위대한 잡것들: 자신의 삶을 위대한 예술작품으로 남긴 작가들 글은 삶이 남긴 얼룩과 무늬다. 글은 삶에서 나온다. 삶이 없이 글은 나오지 않는다. 그 사람의 삶이 담긴 글, 글에서 그 사람의 삶이 보이는 이유다. 삶은 글이고 글은 길이다. 글을 보면 그 사람이 살아온 길이 보이고 살아갈 길도 보인다. 삶과 글은 두 개의 독립적인 활동이 아니라 하나의 활동이다. 올바른 글을 쓰려면 올바른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다. “내가 살아온 삶의 깊이와 넓이만큼, 내가 읽은 책만큼 쓸 수 있다. 글은 한 사람의 체험과 개념의 합작품이다.” 글이 안 써지는 이유는 글을 쓸만 삶이 없기 때문이다. 책이 안 읽히는 이유는 저자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삶을 살지 못했기 때문이다. “내가 살아온 삶만큼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다. 내 삶을 능가하는 글은 읽을 수도 쓸 수도 없다.” “나를 괴롭히는 상극의 힘과 싸워야 내 삶 역시 뜨거워진다. 수많은 불편함과 맞서 싸운 만큼 내 몸에도 사투의 흔적이 남는다…글은 삶에 저항한 만큼 농밀해진다”(14쪽). - 유영만의 《책 쓰기는 애쓰기다》 중에서 - 글짓기든 책쓰기는 기술을 배우기 전에 글감이 되는 삶을 살아낸 흔적이 필요하다. 하지만 쉽게 글짓기가 안 되는 이유에는 몇 가지가 있다. ①영감과 마감 영감이 오면 쓰는 게 아니라 쓰다보면 영감이 달려온다. 쓰다보면 영감이 오고 쓴 문장이 쓸 문장을 데려온다. ②읽기와 쓰기 읽은 후에 쓰는 게 아니라 읽으면서 쓴다. 쓰기 위해 읽으면 그냥 읽을 때보다 글감이 많이 보인다. 읽다가 생각나는 대로 쓰고 쓰다가 다시 읽는다. ③구조와 쓰기 뼈대를 잡고 쓰는 게 아니라 쓰면서 구조를 잡아간다. 구조를 완벽하게 초반에 잡을 수 없다. 쓰다보면 글을 어떻게 엮어낼지 구조가 보이기 시작한다. ④ 방법과 쓰기 알아서 쓰는 게 아니라 쓰면서 알게 된다. 방법은 시작하기 전에 생각해내는 게 아니라 시작하면 방법이 부각되기 시작한다. 글 쓰는 방법도 일단 쓰기 시작하면 글 짓는 방법이 떠오른다. ⑤공감과 쓰기 공감한 것만 쓰는 게 아니라 쓰다 보면 공감하게 된다. 공감은 쓰기 전에도 오지만 쓰다보면 자신도 생각지도 못했던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공감하면서 쓰게 된다. 쓰기 시작하면 공감할 게 너무 많이 나온다. ⑥시작과 쓰기 쓰지 않으면 영원히 못쓰고 쓰면 쓸 수 있다. 쓰지 않으면 쓰러지지만 쓰면 쓰임새가 달라진다. 쓰면 생각지도 못한 글이 써지면서 쓴 글의 쓰임이 부각되기 시작한다. 쓰면 쓰임새도 이전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공식 홈페이지 : 🤍 할까요?' 1부- 당신의 삶을 바꾸는 예술, 일상속에서 예술을 자연스럽게 만나고 즐기는 행복한 경험은 삶을 바꾸는 힘이 된다. 어려운 환경과 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의 오케스트라와 영국의 페인트 잼, 이퀄 아트 등의 사례를 통해 삶을 바꾸는 예술의 힘을 본다, ▶For more VOD visit us at 🤍 인문, 문화, 과학, 자연, 건강, 육아 등에 관한 EBS 교육기획 다큐멘터리입니다. 생활과 밀접한 실용적인 다큐, 새로운 시각을 가진 신선한 다큐, 이야기가 있는 재미있는 다큐를 표방하며 08년부터 지금까지 아이의 사생활, 한반도의 공룡 등 매주 다양한 다큐멘터리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Subscribe to the EBS Docu Channel here: 🤍 ▶For more inforamation visit us at 🤍 ▶Check out what we're up to elsewhere: -🤍
매주 목요일, 일요일 저녁 8시에 떠나는 시공간을 초월한 방구석 예술기행 #피카소 #방구석랜선여행
국내 최고 철학 권위자, 박찬국 교수님의 신간! 『내 삶에 예술을 들일 때, 니체』 북토크 라이브🎤 왜 삶은 내가 이끄는 대로 흘러가지 않을까? 어쩌면 나는 이미 잘못 태어난 존재일까? ⠀ 니체는 인생의 허망함과 허무의 늪에 빠진 인간을 구원하고자 '삶의 자극제'가 되어줄 🕯예술에서 그 가치를 찾아내었습니다. "내 인생이 마음대로 되지 않을 때, 니체가 🕊예술을 권했다." ⠀ ☻ 출간 기념 LIVE 일정 - 8월 29일(화) 오후 2시 ⠀ 📘『내 삶에 예술을 들일 때, 니체』 ─🤍 책을 읽고 참여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 ■ 『서가명강32-내 삶에 예술을 들일 때, 니체』 - 저자 소개 : 박찬국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 모든 것이 변하는 시대에 변하지 않을 삶의 의미를 찾는 철학자 박찬국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롯한 실존철학이 주요 연구 분야로 원효학술상, 운제철학상, 반야학술상 등을 받았다. 최근에는 불교와 서양철학 비교를 중요한 연구 과제 중의 하나로 삼고 있다. 동서양의 사상을 편견 없이 넘나들며 인간과 세계를 탐구한다. 삶을 한 차원 더 끌어올리는 철학적 주제와 사유를 나누기 위해 대중강연과 글쓰기에도 힘쓰고 있다. 이 책에서는 주어진 운명과 무력감의 고통에 빠진 현대인에게 니체의 철학을 권하며, 마음의 생명력을 키우고 삶의 주도권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하는 통찰을 제공한다. 지은 책으로는 『사는 게 고통일 때, 쇼펜하우어』, 『참을 수 없이 불안할 때, 에리히 프롬』,,『이런 철학은 처음이야』, 『사는 게 힘드냐고 니체가 물었다』, 『삶은 왜 짐이 되었는가』, 『원효와 하이데거의 비교연구』, 『니체와 불교』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헤겔 철학과 현대의 위기』, 『마르크스주의와 헤겔』, 『실존철학과 형이상학의 위기』, 『니체 I, II』, 『근본개념들』 외 다수가 있다. ✔ 지금, [서가명강 유튜브] 🔔알람 설정을 통해 이융남 교수님과의 만남을 놓치지 마세요! #내삶에예술을들일때니체 #박찬국교수 #니체
★★★More clips are available★★★ iMBC 🤍
대전시민방송(🤍daejeonctv.com), 디트뉴스24(🤍dtnews24.com)에서 자세히 볼수 있습니다.
클래식 역사 속에 숨어있는 수많은 비하인드 스토리를 초대박 게스트와 함께 🎵꼬리에 꼬리를 무는 클래식 이야기🎵 에서 만나요! 🔸꼬꼬클 EP.3 마리아 칼라스의 삶과 예술 1화 (with 바이올리니스트 한수진) ▶️2023.2.24 (FRI) 20:00 ▶️워너클래식코리아 유튜브채널 #워너클래식 #꼬꼬클 #꼬리에꼬리를무는클래식 #클래식 #매너리 #한수진
tvN 알쓸신잡2 (2017) : 분야를 넘나드는 잡학박사들의 지식 대방출 향연! 국내를 여행하면서 다양한 관점의 이야기를 펼쳐 딱히 쓸데는 없지만 알아두면 흥이 나는 신비한 '수다 여행' _ 📡[#알쓸신잡1] 보러가기 ▶️ 🤍 🔮[#알쓸신잡2] 보러가기 ▶️ 🤍 📜[#알쓸신잡3] 보러가기 ▶️ 🤍
#그림 #미술 #초상화 반갑습니다. 미술의 모든 것 김고흐입니다. 여수 케이블카를 타러 갔다가 초상화를 그리시는 분들을 보게 되었고 그 중 한 분께 인터뷰를 요청드렸습니다. 여러 방송 매체를 통해 노출되었으나 짧게 조명하고 지나가는 소스로만 사용 되었다며 아쉬워 하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흰구염고래님께서 하고 싶은 말씀을 담았습니다. 거리의 무명 예술가들이 근근히 살아가는 것에 누군가는 본인들의 선택이라 말하겠지만 그것보다는 현실 어려움에 대해 집중해주시길 바랍니다. 저분들께서 사회에 요구하는 것은 없으니까요. 묵묵히 그림을 그려서 생활을 이어가실 뿐
매주 일요일 8시 시공간을 초월한 방구석 예술기행 이번엔 고갱 편입니다.
저는 잠시 갤러리에서 몇달간 일해본 경험도 있고 사실 저는 미술전공도 아니고 전문가까지는 못되지만 작품 전시를 보러가서 마음의 평안을 되찾고 기분전환도 하는데, 이런 문화충전의 시간을 너무나 오래 갖지 못한거같아서.. 한참 검색해서 찾은 “에릭 요한슨”의 사진전을 예술의 전당으로 보러 다녀왔습니다. . 사실 3번째 간건데요, 정말 겨우 봤어요. 처음엔 월요일 정기휴관이라고 헛탕- 두번째엔 엄청난 학생들의 단체관람 인파로 포기. 그리고 드디어 3번째 시도끝에 겨우 보게된거라 정말 뭔가 더 소중하게 알차게 보고왔어요. 9월 15일까지 쭉 전시중이니 이런 작품관람 좋아하시는분들이나 특별 데이트 , 친구끼리 가족끼리 기분낼겸 눈 정화하시고픈 분들께 적극적극 강추합니다! #에릭요한슨 #사진전 #포토샵 #테크닉 #사진의신비 #아티스트 #전시회 #예술의전당 #아트 #문화힐링 #문화충전 #기분전화 #특별한날
매주 목, 일요일 8시, 방구석에서 떠나는 예술기행(에곤 쉴레와 비엔나 편) #유럽여행과서양미술산책 #방구석랜선여행 #예술기행 #서양미술사강의
[박훈TV] 비지니스 (광고/협찬) 문의 edmond.parkhoon🤍gmail.com [박훈TV] 투네이션 후원 🤍 [박훈TV] 계좌후원 우체국 103556-01-014211 예금주:박훈TV [박훈TV] 인스타그램 🤍 구독&알람설정&좋아요&응원댓글&공유는 박훈TV에 큰 힘이 됩니다 구독자와 시청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구독하기 클릭 주소 🤍
(한국어) See below for English version 한국-핀란드 국제교류 워크샵 & 스크리닝 프로그램 2: 스페이스바(세운 메이커스큐브) 서울 시간: 2018년 8월 24일 17:00-20:00 장소: 스페이스바(서울 세운상가 세운메이커스 큐브 서201, 종로3가역 12번 출구) 전체 프로젝트 개요 - 행사명: 예술가의 삶과 사회복지-핀란드 예술가 협동조합과의 국제교류 - 기간: 2018년 8월 21일- 8월 22일(대구)| 8월 24일(서울)| 12월 14일 (뚜르꾸, 핀란드) - 장소: 예술상회토마(대구), 스페이스바(서울), B-GALLERIA(뚜르꾸, 핀란드) - 기획: 송요비(10AAA), 곽혜영(SpaceBA), 송현희(B-galleria) - 주최: 10AAA(한국&영국), 예술상회토마(한국), 방천문화재단(한국), B-GALLERIA(핀란드) - 후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shillavan, SnW Kunst, 스페이스바 - 내용: 핀란드 및 노르딕 국가의 예술가 사회복지 사례/ 예술가 발표/ B-GALLERIA의 조직과 운영 - 패널: 리익까 꿉살라(Riikka Kupsala, Director of B-Galleria/artist, 일마리 바리(Ilmari Wärri), 안나 눔미(Anna Nummi), 니꼬 땀삐오(Niko Tampio), 송현희(Mary Song, 핀란드 뚜르꾸대학교 동아시아학 연구 박사과정 리서쳐) 서울: 곽혜영(Justina Gwak, 스페이스바 운영위원), 이은욱(Eunuk LEE: Artist, SEOFAC 아트 디렉터) -부대행사: 핀란드 작가들의 작품 스크리닝& 아티스트 토크| 스페이스바 작가들의 작품 스크리닝 프로젝트 소개 영국과 한국에서 활동하는 ‘10AAA’와 핀란드 예술가단체인 ‘B-Galleria’와 공동으로 기획한 국제교류워크샵과 작품스크리닝을 서울 세운상가에 세운 메이커스 큐브 스페이스바에서 진행한다. ‘B-Galleria’는 핀란드 수도 헬싱키 다음으로 중요한 뚜르꾸라는 도시의 낡은 도시건물에 자리를 잡고 지역 커뮤니티와 예술가 활동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대구에 위치한 ‘갤러리 토마‘와 공통점을 가진 예술단체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후원한 핀란드 및 노르딕 국가의 예술가 사회복지 사례 (기획:송요비(10AAA), 곽혜영(SpaceBA), 송현희(B-galleria)) 워크샵을 통해 대구 예술인에게 핀란드의 예술가를 위한 사회복지제도의 사례와 북유럽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패널로 리익까 꿉살라(Riikka Kupsala, B-Galleria 대표)외 일마리 바리(Ilmari Wärri), 안나 눔미(Anna Nummi), 니꼬 땀삐오(Niko Tampio), 송현희(Mary Song, 핀란드 뚜르꾸대학교 동아시아학 박사과정/큐레이터)가 초대되었다. 행사 문의 및 보도 자료 요청 프로젝트 홈페이지 🤍artistwelfare.org 프로젝트 이메일: art.social.welfare🤍gmail.com ...프로젝트 기획: 🤍10aaa.co.uk ...서울 행사: 스페이스 바 🤍 ...대구 행사: 예술상회 토마 🤍 ...뚜르꾸 행사: 비갈레리아 🤍 (English) Korea-Finland International Exchange Workshop & Screening Program 2: Seoul, Korea Time: 17:00-20:00 Tuesday 24th, August, 2018 Place: SpaceBA(Western201, Sewoon makers cube) Project Info: Artists & Social Welfare SUMMARY Background Artists dedicate, in various ways, to mental health and happiness of members in a society. However, we wonder if the artists themselves have enough well-being or so-cial welfare. If a famous film director has to sell his honourable trophy for living or a poor writer has a situation to choose suicide, is this happy society that artists dedi-cated to make really happy? We cannot help questioning whether the society also think of artists’ welfare back or not. Goals The Artist and Social Welfare project is curated to prevent that artists are utilised as a tool for urban regeneration and dedication to social welfare and to have time to re-view artists’ own welfare. Objective The 2018 Artist and Social Welfare project in Korea explores the basic social welfare concept through the case of Finland, introduces an artists’ association from Finland as a case. In addition, the project compare cultural policy of Finland, UK, the Nether-lands, and Korea to find suggestions on artists’ welfare. Moreover, the project gives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artists to present their artwork in the form of screenings or artist talk to communicate with public. The project in Finland includes open dis-cussion by reflecting workshop and events in Korea. The publication of this discus-sion searches for the direction of the relation between artists and social welfare. • Artists and organisations in Finland • Riikka Kupsala, the president of B-galleria from Turku will explain the structure and co-operation of artists’ formed space B-galleria. • Q&A • Screening Event: Ilmari Wärri, Anna Nummi, Niko Tampio, Riikka Kupsala Contact and Press Release Request Project Website: 🤍artistwelfare.org Project Email: art.social.welfare🤍gmail.com ...Daegu Event: Space Toma 🤍 ...Seoul Event: Space Ba 🤍 ...Turku Event: B-galleria 🤍
☞ 주요 내용은?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이 주는 효과 ▶부모님의 문화예술교육으로 행복한 삶 ☞ 누구에게 왜 중요한가요? ▶65세 이상 문화예술에 관심있는 분 ▶’은퇴 후’ 문화예술통한 여가 단서 SLB(Senior Life Business) channel은 최신 '시니어 라이프스타일'과 '시니어 비즈니스트렌드'를 소개합니다. SLB channel 구독하기: 🤍
▶ 누구나 참여 가능 ▶ 댓글 이벤트 참여방법 - 참여방법 1. 카카오톡채널 추가하고 영상게시물에 댓글 남기기 - 참여방법 2. 센터 유튜브 방문하여 영상게시물에 댓글 남기기 * 댓글 이벤트에 참여해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 당첨자는 11/27(금)센터 홈페이지(🤍gdhdcc.or.kr)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문의: 고양시덕양행신장애인주간보호센터 서비스지원팀(031-839-6100)